40대 이후가 되면 혈압, 콜레스테롤뿐 아니라 심장 건강도 꼭 챙겨야 합니다.
그중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검사 중 하나가 바로 심전도 검사(EKG)입니다.
심전도 검사가 뭐예요?
심전도는 심장이 내는 전기 신호를 기록하여 심장의 리듬과 이상 여부를 확인하는 검사입니다.
심장이 불규칙하게 뛰거나, 심장 근육에 이상이 생긴 경우 조기에 발견할 수 있어요.
- 🕐 검사 시간: 약 5분
- 📍 방법: 팔, 다리, 가슴에 전극 부착 후 누워서 검사
- ❗ 통증 없음. 간편하고 빠르게 끝납니다
어떤 때 꼭 받아야 하나요?
- 가슴 통증이나 두근거림이 있을 때
- 혈압이 높거나, 당뇨/고지혈증이 있는 경우
- 가족력이 있는 경우 (심근경색, 부정맥 등)
- 정기 건강검진 (특히 만 40세 이상)
- 수술 전 마취 전 검사
심전도 검사로 알 수 있는 질환
질환 | 설명 |
---|---|
부정맥 | 심장이 불규칙하게 뛰는 상태 |
심근경색 | 심장에 혈액이 제대로 공급되지 않는 상태 |
심장비대 | 심장이 비정상적으로 커진 상태 |
전해질 이상 | 칼륨, 나트륨 불균형이 심장에 영향을 줌 |
심전도 검사에서 ‘이상’이 나왔다면?
걱정하지 마세요!
이상 소견이 나왔다고 해서 모두 위험한 건 아닙니다. 추가 검사가 필요한 경우도 있어요.
- 심장 초음파
- 24시간 심전도 검사 (홀터 모니터링)
- 운동부하 심전도
- 혈액검사, 흉부 X-ray 병행 검사
검사 전 알아두면 좋은 팁
- ☕ 검사 전 카페인·흡연은 피하기
- 🏃 운동 직후보단 안정된 상태에서 검사
- 📱 전자기기·금속 장신구는 간섭을 줄 수 있어요
- 💧 땀·로션 등도 전극 부착에 방해될 수 있습니다
마무리 – 조용한 심장의 신호, 놓치지 마세요
심전도 검사는 빠르고 간단하지만, 심장질환을 조기에 발견하는 중요한 검사입니다.
특히 40대 이상 직장인이라면 매년 건강검진 때 반드시 확인해보세요.
가슴이 두근거리거나 자주 피곤하다면, 그냥 지나치지 마세요!
우리 몸은 언제나 조용히 신호를 보내고 있습니다.
'건강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건강검진에서 '지방간' 진단 받으셨나요? 꼭 알아야 할 정보 (0) | 2025.04.01 |
---|---|
단백뇨, 왜 생기고 어떻게 치료할까? 원인부터 관리까지 총정리 (0) | 2025.03.31 |
비만, 단순한 체중 문제 아닙니다 – 건강에 미치는 영향 총정리 (0) | 2025.03.31 |
혈액검사에서 '백혈구 수치'가 의미하는 것 – 정상부터 이상까지 (0) | 2025.03.31 |
혈액 속 CPK 수치, 내 몸에 어떤 경고일까? (0) | 2025.03.30 |